본문 바로가기
해외직구팁

아마존 직구 정복기2 - 미국 관세

by 시골썸 2020. 7. 24.

아마존 직구 정복기2 - 미국 관세


지난번에 썼던 "아마존 직구 정복기1-한국 직배송편"에 이어서 오늘은 미국 관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비이야기] - 아마존 직구 정복기 1편 - 한국 직배송


[소비이야기] - 아마존 직구 정복기 3편 - 개인통관고유부호





아마존 직구 미국 관세편




흔히들 우리가 관세라고 부르는 것의 정확한 명칭은 관부가세입니다. 

관세는 아래와 같이 품목에 따라서 다르고, 부가세는 10%로 동일하답니다. (단, 책은 부가세도 0%)



신발, 의류 및 잡화

품목

관세

부가세 

의류, 신발

13%

10%

가방, 지갑

8%

10%

립스틱, 마스카라, 펜슬, 파우더

6.5%

10%

란제리, 언더웨어 등 속옷

13%

10%

스카프, 머플러, 숄, 장갑, 손수건

8%

10%

스킨, 로션, 향수 등의 화장품

6.5%

10%



디지털, 전자, 컴퓨터 제품

품목

관세

부가세

노트북, 테스크톱, 소프트웨어, 테블릿, 휴대폰

0%

10% 

시계, 카메라, TV

8%

10% 

200만원 이상 시계, 카메라

8%(+소비세20%)

10%(+교육세30%)

100만원 이상 카메라 관련 제품

8%(+소비세20%) 

10%(+교육세30%)



레져, 스포츠 용품

 품목

관세 

부가세 

골프용품, 공, 라켓, 낚시용품, 수영용품, 헬멧, 자전거, 운동용구, 기타 레저용품

8%

10%

텐트, 스포츠용 신발, 스포츠 글러브

13%

10% 



 생활용품

 품목

관세 

부가세 

0%

0%

게임기

0% 

10% 

유모차

5%

10%

오락용품, 수유용품, 젖병류, 식기, 안전용품, 애완용소품류, 자동차용품, 주방용품, 커피, 차류, 매트리스, 이불, 베개

8%

10% 

테이블보, 침대덮개, 커튼, 애완용 의류

13%

10%

분유

40% 

10%


하지만 우리가 언제 이 많은 품목의 관부가세를 일일히 기억하겠습니까? 그냥 위의 표는 참고만 해주시고, 실제 계산은 네이버 검색창에 "관부가세 계산기"를 입력해주면 됩니다.



그러면 이런 계산기가 나오는데, 물품선택 탭에서 대분류와 소분류로 물건의 종류를 선택하고 배송비가 포함된 물품의 구입가격과 물품 무게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관부가세가 계산된답니다.



자 그러면 우리가 이런 물건들을 미국에서 직구를 한다고 하면 이 관세와 부가세를 다 내야하는 것일까요?



정답은 "아니다"입니다. 저렇게 관세와 부가세를 내야한다면 누가 미국 직구를 하겠습니까? 지금부터 어떤경우 관세와 부가세가 면제되는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목록통관의 경우에는 200달러까지 관세와 부가세가 면제되고, 일반통관의 경우 150달러까지 관세와 부가세가 면제니다. 참고로 200달러와, 150달러에는 배송비도 포함됩니다. 그렇다면 어떤 것이 목록 통관이고, 어떤 것이 일반통관일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통관 품목은 의약품, 한약재, 야생동물 관련 제품, 농림축수산물 등 검역대상물품(커피, 원두 차, 견과류, 씨앗, 원목, 분유, 사료, 햄류, 치즈류), 건강기능식품(비타민, 오메가3, 프로폴리스 등), 지식재산권 위반 의심물품, 식품류, 주류, 담배, 화장품 등입니다. 이것들을 제외한 품목들은 목록통관입니다.



그러니 우리들이 아마존에서 물건을 구입할 때는 관세와 부가세를 내지 않기위해서는 일반통관 품목이라면 150달러 밑으로, 목록통관 품목이라면 200달러 밑으로 구입을 하면 되겠습니다. 그런데 만약에 구입한 물건의 가격이 이 금액을 넘는다면 원래는 관세와 부가세를 관세청에 직접 납부를 해야합니다. 




DPP시스템

그런데 아마존은 DPP(Delivery Duty Paid)시스템이 있어서 물건을 보낸 사람이 관세납부의 의무를 지게 되므로 아마존에서 물건을 샀다면 내가 관세청에 직접 관세를 납부할 필요가 없습니다. 아마존 측은 결제 단계에서 예상되는 관세를 Deposit fee(예치금)형태로 미리 떼가는데, 만약 관세가 Deposit fee보다 더 나온다면 아마존 측에서 추가금을 부담하고, 관세가 Deposit보다 덜 나온다면 차액을 환불해주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아마존에서 물건을 구입한다면 세금 걱정은 하지 말고 최종적으로 내가 결제하게 되는 금액만 살펴보시면 되겠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아마존 직구 정복기 2편으로서 미국관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글에서는 아마존 직구를 위해서 꼭 필요한 개인통관고유부호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